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Tags
- java
- 리뷰
- 티스토리챌린지
- 키노
- Flutter Toy Project
- sopt 35기
- toy project
- 토이프로젝트
- 자바 스터디
- 영화
- sopt ios
- 영화기록
- 일기
- 스프링 입문
- 자바공부
- 오블완
- 플러터
- SWIFT
- Flutter
- 영화후기
- 프로그래머스
- 영화리뷰
- 코딩공부
- 영화일기
- 인프런
- SOPT
- inflearn
- 자바
- 새벽녘 소소한 기록
- 백준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2024/11/12 (1)
새벽의 기록
[SOPT] 문법 스터디 #2 클로저
클로저 - 클로저의 메모리 관리 방식 - 클로저의 캡처 리스트 - Trailing Closure이 사용되는 예시를 찾아보거나 실제로 구현해보고, 어떤 점이 좋은지 알아봅시다 ! - Escaping 클로저와 Non-escaping 클로저의 차이 1. 클로저의 메모리 관리 방식클로저는 참조타입이라 ARC(Automatic Reference Counting)로 메모리를 관리한다. ARC(Automatic Reference Counting)는 Swift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으로, 클래스 인스턴스의 수명을 관리한다. → 각 클래스 인스턴스에 대해 몇 개의 참조가 있는지 추적하여, 참조 카운트가 0이 되면 해당 인스턴스의 메모리를 해제한다. → 즉, 참조 카운트가 1 이상이라면 메모리에서 할당 해제되지 않는다. 2..
SOPT/문법 스터디
2024. 11. 12. 06:50